산림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및실태조사
∎ 연구배경
가. 임업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위험한 작업 중 하나로 분류되며(ILO), 험준한 지형과 기후조건 등의 영향으로 타 산업 대비 사고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
나. 국내의 산림분야 또한 2021년 946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으며, 2022년 이보다 2.3%(22명) 증가한 968명의 재해자가 발생한 바, 단순한 법·제도의 변화만을 통한 안전확보가 아닌 산업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림사업 현장의 실태와 안전의식을 조사하고자 함
∎ 연구목적
가. 산림사업 종사자를 사업주, 현장대리인, 현장작업자로 분류하여 그룹별 안전의식 수준을 설문조사 형태로 조사하여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산림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고자 함
∎ 연구결과
가. 산림사업장 실태 및 안전의식 조사
- 작성된 설문지를 SMS를 이용하여 산림기술자에게 송부하고, 현장에서 심층면담조사를 수행하여 산림사업장의 실태 및 안전의식을 조사함
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수준 조사
- 산림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의 수준을 확인하고자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10가지의 안전보건관리체계 항목을 대상으로 잘 수행이 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5점 척도로 답변하도록 문항을 설정함
- 이를 통하여 10가지 항목에서 집단별로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이행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5점 척도의 점수체계로 표현하여 제시함
∎ 결론 및 제언
가. 산림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및 실태조사 수행
- 본 과업을 통하여 산림사업장 안전의식 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산림사업에 종사하는 이들 195명에 대한 설문응답을 수집하였으며, 1) 산림사업 종사자 유형구분, 2) 산림사업 종사자 안전의식, 3)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진단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집단별 안전의식 실태조사를 수행함
- 본 과업에서의 조사를 수행한 결과 현재에는 대부분의 산림사업 종사자가 안전보건관리체계와 관련된 사항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산림사업장의 안전과 관련된 제도가 안정화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됨
나. 산림작업자의 제도권 내 편입방안 마련 필요
- 심층면담조사를 수행한 결과 산림기능인력에 등록되지 않은 작업자들이 다수 확인된 바, 이들에 대한 추적 및 관리와 향후 산림기능인력으로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하여 진입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자격의 고안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