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산림작업 표준안전 작업지침 개발

산림기술연구원 2025-01-16 조회수 : 70445

연구배경

 가. 정부는 산업재해 취약부문에 대한 산업재해 예방을 강화하고, 산업현장에 맞게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하여 기업 자율의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산업재해 예방 강화 및 기업 자율의 안전관리체계 구축120개 국정과제 중 49번째 국정과제로 설정함

 나. 산림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모든 생산분야에서 가장 위험한 작업으로 간주되며 (Albizu-Urionalbarrenetxea et al., 2013), 2021년 기준 해외 국가들의 산림사업 재해율을 살펴보면 미국 오레건주는 3.71%, 뉴질랜드는 3.59%, 일본은 2.72%로 나타나고 있음

 다.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성이 넓은 지침을 마련하고자 실제 산림사업 종사자, 주무부처, 안전 관련 전문가 등의 논의를 수행함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의 개발이 요구됨

 

연구목적

 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국외 안전지침 주요 내용을 우리 산림사업 현장에 맞도록 조정

 나. 우리 산림사업의 특성이 반영된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 개발

 

연구결과

 가. 국내외 산림사업 안전 관련 자료 검토

  - 일본, 미국, 뉴질랜드의 산림작업과 관련된 지침 및 매뉴얼의 분석 및 검토를 수행하고, 국내 타분야 지침의 분석, 산림청 및 국립산림과학원이 보유한 안전 관련 매뉴얼의 검토 수행

 나.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 마련

  -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은 총 100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차는 제1장 총칙, 2장 일반수칙, 3장 개인보호구, 4장 도구 및 장비의 취급, 5장 작업별 유의사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장의 경우 작업단위로 제1(임업용 동력기계톱을 이용하는 작업), 2(피해목의 처리 작업), 3(임업용 예불기 등 소형장비를 이용하는 작업), 4(집재 및 운재작업), 5(약제 살포작업 및 나무주사), 6(산림토목)으로 구성된 지침()을 마련함

 

결론 및 제언

 가. 산림사업 안전확보의 기초 토대 마련

  - 본 연구를 통하여 산림사업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의 마련을 하였으며,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높은 위험도를 가진 작업에 대하여서는 기본적 사항들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됨

 나.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의 개선

  - 임업기계장비와 다양한 산림작업방식에 있어 안전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하여 다소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나, 향후 산림사업 표준안전 작업지침이 고시된 후 현장에서 청취되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